온누리 상품권 사용처 조회 및 현금화 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계신가요?
다양한 곳에서 많이 활용이 되는 온누리상품권에 관련한 내용에 대한 부분을 포스팅을 보고 따라 해보신다면 도움이 많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먼저 상품권 사용처 조회 방법을 찾으시는 분은 아래 바로가기를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조회
사용처는 전통시장통통 사이트에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홈페이지를 접속하면 가맹점포찾기를 들어가면 카드형 상품권, 종이상품권, 모바일 상품권 가맹점을 찾을수 있으며, 전국 모든 시,도, 군, 구까지 검색을 하여 조회를 할수있습니다.
온누리 상품권은 주로 전통시장에서 사용이 가능하지만, 거리에 있는 일명 로드샵 스포츠 브랜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여 가맹점을 위 홈페이지를 접속하여 찾아보시는 것이 정확합니다.
상품권 현금화 방법
상품권 현금화 방법은 총 3가지의 방법이 있으며,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온누리 상품권 금액 60% 사용하는 방법
상품권 금액의 60% 이상 물건을 구입하면 나머지 40%는 현금으로 잔액을 거슬러 받을 수 있습니다.
중고 거래 플랫폼 이용하는 방법
당근마켓 또는 중고나라 등을 이용하여 상품권을 판매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주로 10만 원을 거래를 하게 되면 시세는 10% 차감 된 금액인 9만 원에 주로 거래가 되며, 현금화를 할수있습니다.
상품권 교환소 방문
상품권을 주로 거래를 하는 곳에서 모든 상품권을 매입을 하고 있으며, 보통 5~10% 수수료를 받습니다.
중고 거래 플랫폼을 이용하기 싫은 분들에게는 상품권 교환소 및 대형마트 또는 백화점 인근 구두가게에서 매입을 하면 현금화를 할수있습니다.
환전 방법
온누리 상품권 가맹점은 소비자들에게 받은 상품권을 환전해야 현금으로 교환을 할 수 있습니다.
지류 상품권, 전자, 모바일 상품권 환전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물 지류 상품권 환전 방법

실물 상품권은 은행에 직접 방문을 하여 가맹 등록 여부를 확인 후 현금으로 교환을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은행에서 수수료는 3.8%를 받고 현금으로 교환을 해주고 있습니다.
온누리 상품권 또한 현금처럼 사용이 되는 부분이기 때문이기에 환전 내역에 따라 매출 신고 대상으로 반드시 매출 신고를 해야합니다. 이를 신고하지 않을 경우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꼭 신고를 해야합니다.
현재 환전이 되는 은행은 지류 상품권 총 16곳이며, 신한은행, 우리은행, KB국민은행, IM뱅크, BNK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수협, 신협, NH농협은행, 우체국, 새마을금고, IBK기업은행, SH수협은행, 하나은행입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농협중앙회(농협은행)에서는 취급을 하지만, 지역 농축협 (지역○○농협)에서는 미취급을 하기 때문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모바일 상품권 환전 방법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은 절차 없이 일반 카드처럼 자동으로 결제 후 환전이 되며, 결제일 기준 2~3일 이후 가맹점으로 현금으로 입금이 됩니다.
현재 모바일 환전 수수료는 전자 온누리 상품권은 3% 초반이며,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은 1.5%입니다.
온누리 상품권 관련 Q&A
상품권 관련으로 자주 질문하는 내용을 정리 해보았습니다.
Q : 지류 상품권 훼손 시 교환을 받을 수 있나요?
A : 상품권 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3/4이상 남아있으며, 바코드 번호 및 일련번호 확인시 은행에서 수납처리 가능합니다.
Q : 온라인 가맹 등록 또는 취소는 어떻게 하나요?
A : 전통시장 통통 사이트를 접속하여, 온누리 상품권 > 자료실 > 가맹 등록 및 취소 신청서를 다운로드 하여 지역별 중소벤처 기업청에 신청하면 됩니다.
Q : 상품권 환전 대행 업무도 있나요?
A : 위 전통시장 통통 사이트를 접속을 한 뒤 양식을 다운받아서 동일하게 지역별 중소벤처기업청에 신청을 하면 대행을 맡길수 있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정책 글
- 서울청년문화패스 신청 방법 및 사용 방법, 사용처, 20만원 지원 받는 방법
- 한전 에너지 캐시백 신청 방법 및 대상, 자주하는 질문 정리 (2024)
- 한국전력공사 전기요금 조회 및 인터넷 납부 방법, 고객센터
-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방법, 수령 나이, 신청 서류 및 방법 알아보기
-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방법, 수령 나이, 신청 서류 및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