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사이드카 뜻, 서킷브레이커 차이점, 주식 역대 최대 하락 이유

주식 사이드카 뜻 그리고 서킷브레이커 차이점을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금일 8월 5일 국내 시장 코스피, 코스닥, 가상 화폐 시장이 모두 폭락을 하게 되면서 사이드카가 발동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사이드카 발동 조건도 한번 알아보며 어떤 것인지 알아보며, 코로나 이후 주식 시장에서 사이드카가 발동을 하며 금일 주식 시장이 역대 최대 하락을 한 이유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주식 시장이 하락한 이유에 대해서 알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눌러 확인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주식 시장 하락한 이유 보러 가기

 

주식 사이드카 뜻

 

사이드카는 영어로 Sidecar로 과속 방지턱이라고 생각을 하시면 더욱 이해하기 쉽습니다.

주식 시장에는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해서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라는 안전 장치가 있으며, 상승할 때 VI 발동 걸리는 것과 같은 원리라고 볼수있습니다.

글로벌 증시 및 주식 시장에서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지고 있을 때 선물 시장이 급등락을 할 때, 충격이 주식 시장으로 이동 되지 않게 막기 위한 장치입니다.

선물 시장이 과열이 되어 주식 시장까지 위험해질 때 잠시 멈춤 버튼을 누르는 것이 ‘사이드카’ 라고 볼수있습니다.

하지만 주식 사이드카는 아무날에 발동이 되지 않으며, 조건이 있는데 사이드카 발동 조건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이드카 발동 조건 및 효과

주식 시장에서는 사이드카 발동 조건이 있습니다. 또한 발동을 하여 안전 장치로 인한 효과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사이드카 발동 조건
    • 코스피200 선물 5% 이상 상승 또는 하락
    • 코스닥150 선물 6% 이상 상승 또는 하락
    • 위 두가지 경우 1분 이상 지속이 될 경우 사이드카가 발동하게 됩니다.
  • 사이드카 발동 효과
    • 프로그램 매매 5분간 중단으로 인해 개인 투자자의 투매를 막고 시장 안정화를 하기 위해 잠시 중단을 합니다.
    • 상승 또는 하락을 하여 사이드카 발동을 하게 되면 시간외 단일가로 매매가 시작이 됩니다. 이유는 보통 거래가 아닌 시간외 단일가로 매매를 하게 되면 안정적인 가격 형성을 유도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서킷브레이커 뜻

서킷브레이커 뜻은 주식 시장에서의 비상 정지 버튼입니다.

주가가 상승이 아닌 폭락하여 시장 전체가 패닉에 빠질 위험이 있을때 발동이 되며, 하락된 시장의 안정화를 조금이나마 할수있도록 만들어주는 안전 장치입니다.

이 말은 즉, 주식 시장이 붕괴될 위험에서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최후의 수단 중 하나입니다.

 

서킷브레이커 발동 조건 및 효과

사이드카보다 더욱 심각할때 발동이 되며, 발동이 되는 조건과 발동을 하면 주식 시장의 효과를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서킷브레이커 발동 조건 (코스피, 코스닥 동일)
    • 1단계 : 전일 종가 대비 8% 이상 하락, 1분 이상 지속이 될 때
    • 2단계 : 전일 종가 대비 15% 이상 하락, 1분 이상 지속이 될 때
    • 3단계 : 전일 종가 대비 20% 이상 하락, 1분 이상 지속이 될 때
  • 서킷브레이커 발동 효과
    • 1단계 : 모든 매매 거래 20분간 중단
    • 2단계 : 모든. 매매 거래 1시간 중단
    • 3단계 : 당일 매매 거래 종료

 

서킷브레이커와 사이드카 차이점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둘 중 발동이 되면 대체로 좋지 못한 소식으로 인해 발동을 하게 되며, 코로나19 때처럼 주로 경제가 좋지 않거나 해외 글로벌 좋지 못한 이슈가 있을때 발동이 됩니다.

차이점을 아래 표를 이용해 정리해보았으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구분 사이드카 서킷브레이커
발동 시점 선물 시장 급등락 현물 시장 폭락
발동 기준 코스피 5%, 코스닥 6% 코스피/코스닥 8%, 15%, 20% 하락할 때
발동 효과 프로그램 매매 5분 중단 20분 / 1시간 / 당일 거래 중단
목적 선물 시장 안정화, 현물 시장 충격 완화 현물 시장 폭락 방지, 투자자 보호

서킷브레이커와 사이드카가 발동하면 주식 시장이 불안정하다고 볼수있습니다.

많은 하락을 한다고 하여서 바로 매도를 하기보다는 하락하는 부분에 대해서 자세한 정보를 확인을 할 필요가 있으며, 상황을 지켜보며 결정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은 8월 5일 주식 역대 최대 하락을 한 부분에 대해서 이유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역대 최대 하락 이유

금일 8월 5일 주식 역대 최대 하락을 하였습니다. 코스피 -8.77%, 코스닥 -11.30%를 하락하며 좋지 않은 모습을 보였습니다.

갑자기 이렇게 주식 시장이 박살난 이유에 대해서 어떤 부분이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하지만 제가 알고 있는 정보와 다를수 있기 때문에 이 점은 참고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주식 역대 최대 하락한 이유

위와 같이 8월 5일에 하락한 이유는 여러 가지 부분이 있습니다.

주식시장에서 엔비디아발 AI반도체에 대한 거품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으며. 많은 부분이 현재 설상가상으로 겹쳐서 악재로 다가온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렇게 좋지 않은 부분에는 아래 기사를 확인을 하면 더욱 주식 역대 하락을 한 이유에 대해서 내용을 알수있습니다.

👉 미국 고용지표 냉각 관련 뉴스 보러 가기

👉 월가, 경기침체의 가늠자 ‘삼의법칙’ 발동 관련 뉴스 보러 가기

👉 워런 버핏, 애플과 뱅크오브아메리카 매각 관련 뉴스 보러 가기

👉 코로나 재유행 관련 뉴스 보러 가기

 

 

함께 보면 좋은 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