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장마 기간 시작 예측 및 장마 대비 방법 알아보기

2024 장마 기간 시작 예측 및 장마 대비 요령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 기상청이 예고해준 것과 달리 많은 비가 내리고 있으며, 지역별 장마 기간을 알아보며 장마 대비 방법을 확인하면 더욱 장마 기간에 유용하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2024 장마 기간

장마는 지역 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6월 중순부터 7월 하순까지 장마 기간으로 기상청에서 보고 있습니다.

이 장마 기간 시기에는 기상청 예보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우산을 꼭 챙겨서 대비해보시기 바랍니다.

2024 지역별 장마 기간

지역 별 장마 기간에서 지역 별로 크게 중부, 남부, 제주 지방으로 나뉘게 되면서 2024 지역별 장마 기간 시작과 끝나는 종료일을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지역 시작일 종료일 기간(일) 강수일수(일) 평균강수량(mm)
중부 지방 6월 25일 7월 26일 31.5일 17.7일 378.3mm
남주 지방 6월 23일 7월 24일 31.4일 17.0일 341.1mm
제주 지방 6월 19일 7월 20일 32.4일 17.5일 348.7mm
  • 중부 지방 : 서울 경기, 강원 영동, 강원 영서, 충북, 충남
  • 남부 지방 : 경북, 경남, 전북, 전남
  • 제주 지방 : 제주, 고산, 성산, 서귀포

장마의 순서는 보통 제주 > 남부 > 중부 순서로 장마가 시작되곤 하였는데 2023년부터는 전국이 거의 동시에 장마철에 들어섰으며, 올해도 비슷한 시기에 장마가 시작하였습니다.

 

전국 강수량과 강수 일수(2011년~2021년)

기상청 자료로 전국 강수량과 강수 일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 장마 기간 및 2011~2021 강수량

현재 기상청에 나와있는 강수량과 강수 일수는 2012년부터 2021년까지만 나와있으며, 2022, 2023년, 2024년 자료는 나와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올해 2024년 장마 기간에 내리는 양은 예년보다 강수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작년인 2023년에는 남부 지방에는 폭우가 쏟아지며 역대 강수량 1위를 찍었기 때문에 이번에도 장마철에 대비를 하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장마에 더욱 관련하여 정보를 알고싶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장마 대비 방법 (실내 및 건강)

현재 장마가 시작이 되지만 더욱 비가 많이 오면 필요한 부분들을 정리해보았으니 아래 대비 방법에 읽어보시고 대비하시면 더욱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1. 침수대비
    • 배수구 청소 : 낙엽 및 쓰레기 등을 청소하며, 빗물이 잘 빠질수 있도록 합니다.
    • 모래주머니 준비 : 저지대 주택이나 상가에 사시는 분들은 모래주머니를 쌓아 빗물 유입을 막으면 더욱 침수 대비에 도움이 됩니다 (모래주머니는 주민센터에서 무료 배부하는 경우가 있으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 하수구 역류 방지 : 역류 방지 밸브 설치 및 하수구에 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덮개 설치
    • 지하 공간 방수 : 지하실, 주차장 등은 방수 페인트나 실리콘으로 방수 처리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차량 이동 : 아파트 지하 주차장 같은 경우, 집중 호우가 시작이 되면 침수가 될 수 있기에 고지대로 이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 실내 물건 이동 : 침수 가능성이 있는 곳에 보관된 물건들은 높은 곳으로 미리 옮겨 두는 것이 좋습니다.
  2. 습기와 곰팡이 제거
    • 환기 : 습도가 높은 날에 잠깐씩 창문을 열어 습기를 배출하면 곰팡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 선풍기, 에어컨 활용 : 공기 순환을 위해 습도를 낮춰주는 것이 좋으며 제습 효과가 있으면 제습으로 하여 곰팡이가 생기지 않게 해줍니다.
    • 곰팡이 제거 : 곰팡이가 생긴 곳은 즉시 락스 희석액 등으로 곰팡이 제거제로 닦아내고 예방 스프레이를 사용해줍니다. 곰팡이는 한번 생기게 되면 계속 번지기 때문에 생겼다면 제거를 한 뒤 재발하지 않도록 조치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3. 건강 관리 예방(식중독, 냉방병, 피부질환)
    • 식중독 예방 : 장마철 왠만해서는 회종류는 거리를 두고 음식을 충분히 익혀 먹고 물 또한 끓여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 냉방병 예방 : 실내와 실외를 온도차를 5℃이내 유지해주며, 냉방병에 걸리지 않게 예방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피부 질환 예방 : 장마 기간 내 습하기 때문에 습진과 무좀 등 피부 질환이 많이 발병하곤 합니다. 예방을 하기 위해 청결에 유지를 하며, 피부 질환 예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마 대비 방법 (실외 및 운전 )

  1. 장마철 외출 준비물
    • 우산, 레인코트, 장화 : 비에 젖지 않도록 준비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에 젖어 습하게 되면 피부 질환에 대한 부분이 노출되어 있어 더욱 쉽게 걸릴 수 있습니다.
    • 여벌 옷, 수건 : 비에 젖었을 경우 대비하여 준비하는 것이 좋으며, 감기 걸리기가 쉬우니 건강에 유의하여 준비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장마철 운전 주의 사항
    • 감속 운행 : 빗길은 미끄럽기 때문에 평소보다 속도를 줄여 운전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장마철 잦은 사고가 발생하며, 사고가 나게 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에 더욱 조심하여 운전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전조등 켜기 : 장마철로 인해 해가 뜨지 않아 전조등을 켜서 운전하는 것이 좋습니다. 빗길 운전으로 인해 전조등을 끈 상태로 다니게 된다면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안전거리 유지 및 침수 도로 진입 금지 : 장마철에는 더욱 차가 많이 막히며, 시야가 좁기 때문에 안전거리에 유지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많은 비로 인해 잠수교 등의 하천에 있는 도로 진입을 하다가 침수될 수 도 있기에 사전에 진입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3. 기타 장마철 대비 방법
    • 장거리 운전을 한다면 기상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변 도로 교통 상황 또는 기상정보를 확인하면 장거리 운전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기상청 바로 가기
    • 혹시 모를 일을 대비하여 비상 연락망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빗길에 미끄럼 사고 등이 일어날 수 있으니 바닥이 미끄러운 신발은 되도록이면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국민 안전 재난 포털을 참고하여 재난 안전 상황 현황들을 보고 위험한 지역은 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장마철 대비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또한 장마철에는 혹시 모를 일을 대비하여 많은 양의 비가 내리면 침수가 될 수 있으며, 이 부분은 자동차보험의 자기 차량 손해 담보에 가입이 되어있으면 보상 받을 수 있습니다.

자동차 보험의 자기 차량 손해 담보 가입이 되어있는지 미리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자동차 보험 중 자기 차량 손해 담보 가입 또는 다른 부분이 필요하다면 자동차 보험 비교 사이트를 확인하여 괜찮은 보험의 종류로 되어 있는 곳을 찾아서 가입을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최근 여러 가지 저출산 지원 정책에 대해서 많이 지원을 해주고 있으며, 출산을 계획 중이신 분들이라면 아래 내용들을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