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원금을 신청하려는 대상은 반드시 기준중위소득 확인방법을 통해서 필수로 확인을 해야합니다.
2025년 기준중위소득 확인방법 사이트와 계산기 하나로 빠르게 확인을 할 수 있으니 아래의 글을 꼼꼼히 읽어보시고, 정부지원금 신청 전 반드시 숙지해두세요.
기준중위소득이란?
대한민국 모든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하였을 때 정확히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이 소득 기준으로 기초생활보장, 청년지원금, 주거급여 등 다양한 복지제도의 수급 자격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활용이 됩니다.
2025년 기준중위소득표 정리
가구원 수 | 50% | 70% | 80% |
---|---|---|---|
1 | 1,196,006.5 | 1,674,409.1 | 1,913,610.4 |
2 | 1,966,329.0 | 2,752,860.6 | 3,146,126.4 |
3 | 2,512,676.5 | 3,517,747.1 | 4,020,282.4 |
4 | 3,048,886.5 | 4,268,441.1 | 4,878,218.4 |
5 | 3,554,096.0 | 4,975,734.4 | 5,686,553.6 |
6 | 4,032,402.5 | 5,645,363.5 | 6,451,844.0 |
7 | 4,494,214.0 | 6,291,899.6 | 7,190,742.4 |
가구원 수 | 100% | 120% | 150% | 180% |
---|---|---|---|---|
1 | 2,392,013.0 | 2,870,415.6 | 3,588,019.5 | 4,305,623.4 |
2 | 3,932,658.0 | 4,719,189.6 | 5,898,987.0 | 7,078,784.4 |
3 | 5,025,353.0 | 6,030,423.6 | 7,538,029.5 | 9,045,635.4 |
4 | 6,097,773.0 | 7,317,327.6 | 9,146,659.5 | 10,975,991.4 |
5 | 7,108,192.0 | 8,529,830.4 | 10,662,288.0 | 12,794,745.6 |
6 | 8,064,805.0 | 9,677,766.0 | 12,097,207.5 | 14,516,649.0 |
7 | 8,988,428.0 | 10,786,113.6 | 13,482,642.0 | 16,179,170.4 |
출처 : 위 내용은 2025년 최신 내용이며, 보건복지부 안내에 나와있는 부분을 보기 좋게 정리하였습니다.
기준중위소득 확인 방법 사이트
본인이 지원 받을 수 있는 복지 서비스의 자격조건과 연결되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 제공처를 통해서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복지로 홈페이지

- 가장 대표적인 복지정보 포털이며, 소득 확인과 함께 지원 가능한 복지서비스 모의계산까지 가능합니다.
- 이용 방법
- 1. 복지로 접속 → 상단 메뉴 중 ‘복지서비스 모의계산’ 클릭
- 2. 가구원 수, 소득, 재산 등 기본정보 입력
- 3. 결과 화면에서 적용되는 기준중위소득 비율과 예상 수급 가능 서비스 확인 가능
- 주요 활용 기능
- 기준중위소득 자동 계산기
- 각종 정부지원제도 자격 모의 판단
- 실시간 정책 업데이트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 공식적으로 소득표를 가장 먼저 확인할 수 있는 정부 기관 사이트
- 이용 방법
- 1. 홈페이지 접속 → 검색창에 ‘기준중위소득’ 입력
- 2. 고시문 PDF 또는 엑셀 파일 형태로 다운로드 가능
- 활용 팁
- 연도별 중위소득 변경 추이를 분석할 수 있음.
- 공식 문서가 필요한 경우 활용
기준중위소득 계산 활용 방법
정부지원금을 신청하려는 사람은 반드시 복지로에서 제공하는 모의계산기를 통해 본인의 소득과 재산 정보를 입력하여, 다양한 복지서비스 및 지원금 수급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복지로 모의계산기 사용 방법
- 복지로 홈페이지 접속
- 가구원 수, 소득, 재산 등 정보 입력
- 예상 수급 가능 복지서비스 확인
TiP : 모의계산 결과는 참고용이며, 정확한 수급 여부 또는 지원금은 해당 기관의 심사를 통해 결정됩니다.
아래의 링크를 접속하면 한번에 모의계산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중위소득 확인이 필요한 주요 복지제도는?
- 기초생활보장제도 (생계급여, 의료급여 등) 바로가기
- 청년내일저축계좌 및 청년도약계좌 (바로가기)
- 주거급여 및 교육급여 (바로가기)
- 긴급복지지원제도 (바로가기)
- 한부모가족 지원제 (바로가기)
주의 : 각 제도마다 적용되는 소득 비율이 다르므로, 해당 제도의 신청할 때 소득 비율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치며
기준중위소득은 다양한 복지제도의 수급 자격을 판단하는 핵심 기준입니다. 2025년 최신 기준을 확인하고, 본인의 자격 여부를 미리 파악하고 복지 혜택을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2025년 정부지원금 신청 콘텐츠를 아래에서 확인을 하고, 읽어본 뒤 해당이 된다면, 꼭 신청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 근로 자녀 장려금 신청 방법 바로가기
- 소상공인 50만 원 공과금 지원 신청 바로가기
- 소상공인 에어컨 구매 비용 지원 신청 바로가기
- 소상공인 배달 택배비 지원 신청 바로가기
- 건강보험료 연말정산 조회 신청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