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최저임금 월급 계산 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에 2025년 최저임금이 올라가면서 내년에는 시급이 10,030원으로 확정이 되면서 9급 공무원보다 편의점 알바가 더 낫다는 말이 생겨날 정도로 올랐는데요.
시급 10,030원으로 최저임금을 정하였을 때 월급은 얼마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시급 10,030원으로 월급을 미리 계산하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버튼을 이용하여 내년 2025년 최저 시급으로 계산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2025 최저임금 월급 계산
2025년 최저 시급이 발표가 되면서 내년 최저 임금을 통한 월급 계산을 하시는 분들이 부쩍 많아졌습니다.
2024년 최저 시급은 9,860원이었을 때, 한달 월급은 2,060,740원이었습니다.
2025년 최저 시급은 10,030원이었을 때 한달 월급은 얼마일까요?
편리하게 계산을 하기 위해 최저 임금 계산기를 통하여 바로 계산을 하면 알수 있습니다.
2025년 최저 임금 월급은 209시간 기준으로 2,096,270원으로 1.7% 오른 것을 알수있습니다.
주급으로 계산을 하고 싶으신 분들도 아래 버튼을 이용하여 최저 임금으로 주급 또는 월급을 계산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2025 최저시급 인상률
현재 10,030원으로 최저시급이 발표가 되면서 자영업자들은 많이 힘들어하고 있는 것을 알수있습니다.
하지만 2025년 최저시급 인상률로 보면 1.7%를 올랐으며, 최근에 오른 인상률 중에서 두번째로 낮은 편에 속합니다.
최저시급이 가장 낮게 올랐을 때는 코로나 19 시절이었으며, 2021년에 1.5% 인상을 한 적이 있습니다.
인상률은 1.7%이지만 최저시급 만원 시대가 되면서 더욱 알바생을 써야하는 자영업자들은 더욱 큰 부담감으로 다가오게 되었습니다.
최저 시급은 시급대로 주어야하며, 주휴수당도 챙겨주어야하기 때문에 더욱 부담감으로 다가오며, 최저 시급이 오르게 되면서 더욱 취업보다는 알바를 선호하는 MZ 세대들이 생겨나면서 더욱 일자리에 대한 부분이 필요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역대 최저 시급 인상률

2011년부터 현재 2024년까지 역대 최저 임금에 대한 인상률을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2018년에 가장 많이 16.4%으로 많이 올랐으며 그 뒤 하락세를 보여주며, 현재는 인상률이 더욱 낮아지고 있습니다.
사실상 현재는 물가 상승률에 비하면 엄청 낮은 수치를 알 수 있으며, 월급이 오히려 줄어드는 느낌을 많이 받고 있어 더욱 받고 있을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률에 대해서 알고 싶으신분은 아래 버튼을 이용하면 물가 상승률에 대해서 편리하게 알 수 있습니다.
여담으로는 현재 최저 시급이 만원을 돌파하면서 현재는 공무원보다 알바를 하는 것이 덜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이야기가 되며, 더욱 취업난이 해소가 되지 않을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최저 시급이란?
최저 시급이란 국가가 노사 간의 임금 결정 과정에 개입하여 임금의 최저 수준을 정하고, 사용자에게 이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법으로 강제함으로써 저임금 근로자를 보호하는 제도를 뜻합니다.
최저 시급 결정되는 시기
한 해의 최저 시급이 결정되는 시기는 매년 3월 31일에 고용노동부 장관이 최저임금심의위원회를 요청하게 되면서 안건으로 진행이 됩니다.
1월 ~ 5월까지는 최저 시급에 대한 자료를 수집을 하며, 4~6월에는 최저 시급에 대한 자료들을 수집한 부분들을 검토하며, 최저임금 심의를 한 후 제출을 하게 되면 7~8월에 최저임금 또는 시급이 결정이 되어 발표를 하게 되어있습니다.
이렇게 심의를 결정하여 발표가 되며, 내년 최저 시급이 발표가 되며 많은 사람들의 찬반이 갈리고 있습니다.
자영업자들에게는 알바를 쓰게 되면 높은 임금으로 부담이 되지만, 일반 공무원 또는 최저 임금으로 월급을 받는 사람들에게는 물가 상승률에 비해 최저 임금 상승률이 낮아서 오히려 월급이 적어지는 현상을 겪고 있습니다.
현재 자영업자도 공무원 및 직장인에게도 최저 시급이 결정이 되면서 어느 곳에서 반갑지 않은 부분이 있습니다.
자영업자들도 좋지 않은 상태이지만 몰라서 받지 못하는 지원금에 대해서 아래 글에 더욱 자세히 설명을 해보았으니, 해당이 되시는 분들은 링크를 접속하여 더욱 정부 지원 정책에 대해서 지원을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